[10]
ΕΛΠΙΣ | 00:12 | 조회 0 |루리웹
[18]
루리웹-9937103279 | 00:40 | 조회 0 |루리웹
[15]
-청일점- | 00:38 | 조회 0 |루리웹
[16]
키다 다나카 | 00:37 | 조회 0 |루리웹
[9]
옥태영 | 00:27 | 조회 325 |SLR클럽
[6]
柳林♥ | 00:26 | 조회 321 |SLR클럽
[12]
변비엔당근 | 00:42 | 조회 2623 |오늘의유머
[3]
나래여우 | 25/05/19 | 조회 0 |루리웹
[6]
나래여우 | 25/05/19 | 조회 0 |루리웹
[5]
타로 봐드림 | 00:35 | 조회 0 |루리웹
[3]
루리웹-5413857777 | 00:32 | 조회 0 |루리웹
[5]
( | 00:35 | 조회 0 |루리웹
[9]
루리웹-5413857777 | 00:33 | 조회 0 |루리웹
[8]
나래여우 | 00:28 | 조회 0 |루리웹
[7]
ΕΛΠΙΣ | 00:19 | 조회 0 |루리웹
최초는 아니지만 형태는 대강 맞다는 말이군
최초의 금속활자는 조선이지만 현대 인쇄술의 기원은 구텐베르크라는거랑 비슷한 개념인가 보네
영국 또 너야? (좋은 의미로)
히틀러라는 이미지 탓 아닐까
똑같은 인간이지만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학살하던 놈이, 정작 동물 보호?
괴벨스 선동짤도 구라드만
1687년 일본의 도쿠가와 츠네요시가 발표한 생류연령 법이 가장 먼저 아님? 동물을 죽이면 사람을 죽여버리는 법이기는 했는데...
이거 내가알기로는 진짜 최초는 아소카왕이 최초였고
그 후로 근대적 형태로 발전한걸 최초로한게 나치 히틀러
그 이후로 진짜 근대적 기준과 틀을 제대로 갖춘 법을 만든건
영국으로 알고있음
그 근대적 틀이 마틴 법이란 글인데 글을 읽은거냐
근데 현대 동물법은 나치 시절에 제정된 법안을 뿌리로 둔건 맞잖아
영문버전에선 보호법이긴한데
성격은 가축도축법에 더 가깝게 설명하는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