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129388)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루리웹-7.. | 24/05/20 20:30 | 추천 59 | 조회 31

직구) 이번 직구 금지가 테무, 알리 우대, 타 대륙 역 차별인 이유. +31 [12]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6140247


국내에 이번 직구 금지 폭탄이 터진 건 대충 16일 부터.


모든 국민, 모든 한국 내 사업체들도 

16일 발표로 알게 되었고


발표 내용만 보자면 알리, 테무도 마찬가지라 생각 할 수 있지만....


개뿔


전혀 아니다.




알리 "KC인증 확대", 테무 "국내투자 검토" (msn.com)




[머니S포토] 정부, 알리·테무 등 해외 플랫폼 가품·위해식품 논란 공동 대응 - 머니S (moneys.co.kr)


이 뉴스들이 나온 날짜는 13일이다.


13일


무려 3일전인데....




 [KC인증 제품 확대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레이 장 대표는 "중국 셀러들이 KC인증을 받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KC인증을 받은 상품을 우선 홍보하고 판매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퀀 선 대표는 "KC인증은 소비자 안전과 관련된 제도라고 생각한다. 위법하고 안전하지 않은 제품은 즉시 삭제하고 리콜 등 다양한 조치를 통해 소비자 이익을 보호하겠다"고 했다.]




한기정 공정위원장 알리·테무 만나… '제품 안전협약' 체결


그리고 3일 전 뉴스이지만 내용이


안.전.협.약.체.결


...이다.


즉 최소한 알리와 테무가 KC인증에 대해 알고 그것에 대응 할 수 있었다는 건

최소 3일은 아니라는 거.


전문가는 전혀 아니지만 

저런 협약을


"3일 후에 KC 직구 규제 들어갈테니 오늘 만나서 협약하시죠?"


이러진 않을 거 아니냐?

설령 저랬다면 저것 자체로도 미친거 겠지만.  



규제 대상, 국내 가장 큰 플랫폼 쿠팡조차도

알리 테무에 위협 당하고 몇 년 만에 상승세가 꺽여 불안감이 

조성되는 와중에...


한국 기업이나 국민보다 중국 기업들이 먼저 알고

장관까지 보내 중국 신경을 쓴다?


중국, 알리 테무를 견제한다며?

왜 불평등한 시작을 제공하지?



이걸로도 이미 화가 치밀어 오르지만 더 진짜 본 편은 지금부터다.


중국, 알리와 테무와 미국, 일본, 유럽, 기타 국가들의 한국 내 비율은 차이가 난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2조2천217억원(46.4%)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미국이 1조3천928억7천900만원(29.1%)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유럽연합(EU)과 영국 6천504억7천300만원(13.6%),

일본 3천449억7천400만원(7.2%),

아세안(ASEAN) 555억8천만원(1.2%),

캐나다 406억9천300만원(0.8%)

등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압도적이고 

한국에 수출하는 양이 무시할 수 있는 양은 아니라


중국 입장에서는

미리 KC 인증을 소속된 업체들에게 KC 인증을 받아두게 하는 게 나쁜 일은 아니라는 거.


하지만 미국이나 타 국가에서는 어떨까?


안타깝지만 한국에서의 수입량 비율이 엄청 많은 편이 아니라 

그들 입장에서는 돈을 들여 KC 인증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음.


그러니 KC 유료 인증은 자연스럽게 

국내 소비자에게 직구 등을 통해 


중국 쪽 커머스에 더, 더 의존하게 만들어 버릴 가능성이 있음.


그리고 중국은

그 빈 직구 시장을 오히려 다 차지하여 


역으로 한국 점유율을 90%이상 점유 할 가능성도 충분히 생겼다.


그리고 이미 한국에 KC 제도로 국내 점유율을 중국이 잡아먹고

추후


 빠르게 인건비가 오르는 중국에 비해

아세안이나 인도 쪽은 아직도 상당히 낮은 인건비고,


우리가 이 아세안이나 인도 쪽에서 구입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생겨도


상대적으로 높은 환율로 

해당 인도나 아세안의 업체들에게는 엄청 비싼 돈을 내


KC 인증을 받는 다는 게 한국 진출의 그냥 장벽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고.


이건 한국에 진출한 중국 기업들을 위한 기타 대륙 에서의 직구를 막는 봉쇄 장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여짐.



과연 이 상황에서 이번 발표가 

불평등한 것을 돌려놓는 거라고 할 수 있을까?


이 정도면 


국민들의 해외 직구 선택권을 제한하고


중국 외

미국을 포함한 타 국가의 진출을 막는 한국에 물건 파는 중국기업을 위한 보호막

...의 가능성이 높지 않을 까 싶음. 





[신고하기]

댓글(12)

이전글 목록 다음글

67 8 9 10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