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루리웹 (1723705)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멧쥐은하.. | 24/06/25 09:29 | 추천 40 | 조회 55

조선시대 과거시험이 얼마나 붙기 어려운지 알아보자.araboja +55 [39]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6614304


img/24/06/25/1904cae4a87d1660.webp


조선시대 과거시험(문과기준)은 소과와 대과에 합격하면 급제한다고 말한다.


이는 정기시험(식년시)와 비정기시험(증광시,알성시) 로 나뉘어 있었는데


비정기시험은 말그대로 언제 열릴지 모르는것으로 정기시험 식년시를 기준으로 보자.



이 식년시는 3년에 한번 실시한다. 공무원시험을 3년에 한번 한다고 생각해보자. 벌써부터 정신이 나갈거같다.


소과시험은 1,2차시험(초시와 복시)이 있고 이 과정에서 전국에서 뽑히는 인원이 단 100명이다.  당연하지만 여기뽑히는것도 벌써 어렵다.


이렇게 소과에 합격하면 대과에 응시할 자격과 국립대학 성균관에 입학하는 자격을 얻게된다. 




img/24/06/25/1904cb3ea05d1660.jpg


애송이처럼 보이는 성균관 유생들은 소과에 합격한사람들이다. 이미 전국에서 100등안에 드는 엘리트만 뽑아놓은 자리인것이다.


소과에 합격하면 시험과목에 따라 생원, 진사로 불리는데 허생원이니 김진사니 부르는사람들이 소과에 합격한사람들이다.



그런데 대과는 이 소과는 아무것도 아닐정도로 더욱 문틈이 좁으니..


대과도 소과와 마찬가지로 1,2차시험(초시와 복시)으로 뽑는데


이 과정에서 합격하는 사람이 단 33명이다.



이미 소과에 합격한 엘리트들, 대과시험에 도전하려고 수십년간 공부만 한 사람들, 이 중에서 단 33명만 뽑는거다.


대과시험은 평균 1만명정도가 지원했다고하는데 다시말하지만 정기시험(식년시)은 3년에 한번밖에 실시하지않는다.


낙방하면 그대로 3년 날아가는거고 3번낙방이면 10년이다.



이 대과시험이 더더욱 악랄한것은 이미 과거에 합격한 현직관리들도 대과시험을 승진시험으로 겸해 친다는것이다.


이걸 뚫고 33명 안에 든다? 요즘으로 말하자면 10살에 대학과정밟는 천재들만 뽑는거다.



이렇게 대과 복시를 거쳐 33명만에 들었다면 과거에 합격한것으로, 마지막으로 임금이 직접 주관하는 전시에 참여하게된다.



img/24/06/25/1904cc05564d1660.webp

이렇게 경복궁 근정전앞에서 재현하는 과거시험의 풍경은 전시일 확률이 높다. 


아무튼 이 전시는 33명중에 갑을병으로 순위를 가리는것인데, 여기서 1등을 하면 바로 장원급제 납시오의 그 장원급제다.


33명 뚫는것도 미치도록 힘든데 그중에서도 1등을 한다는건 정말이지 대단한것이다.



img/24/06/25/1904cc309f7d1660.jpg


5천원짜리에 들어가있는 유학자 율곡 이이는 9번이나 장원급제했다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렸는데


이정도 천재쯤되니까 오늘날에서도 5천원짜리에서 그 얼굴을 볼수있는거라 할수있겠다.




img/24/06/25/1904cc581a5d1660.png


조선시대 사극에서 왕앞에서 맨날 바보같이 즈어어어어언하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하는 사람들은 


저 위에 시험들을 뚫고 고위관직까지 올라온 천재들이다. 바보들이 아니다.



조선시대 왕들은 이 천재들과 국정과 유학을 논했어야했는데 이건 보통 어려운일이 아니며


그중에서도 세종과 정조는 이 천재들을 지식으로 압도했다고하니 그것또한 엄청난 일이다.




[신고하기]

댓글(39)

1 2 3

이전글 목록 다음글

16 1718 19 20
    
제목 내용